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안면신경마비][구안와사]한의원에서 치료및 예방을

한의학 이야기

by 릴라원장 2019. 11. 18. 14:45

본문

반응형

오늘은 구안와사(안면신경마비)에 대한 카드뉴스입니다.

특히 요즘 같이 갑자기 추워졌을때 빈발하는 병입니다.

제가 군의관 시절에는 군인들이 야외훈련(혹한기훈련)하다가 안면마비가 온 경우가 많이 있었지만 요즘에는 어떤지 모르겠네요!

제가 강원도 화천에서 근무를 했었기에 너무 추워서 그런지 겨울에 훈련하고 나서 꼭 몇명씩 치료받으러 왔었지요.

구안와사는 입과 눈이 틀어지고 한 쪽 안면신경이 마비되어 다른사람이 보기에 마비가 된부위의 반대쪽으로 비뚤어 보이는 현상때문에 큰 병으로 착각 하는 경우도 많았습니다.

구안와사는 연령 성별 무관하게 나타나는거 같아요! 저의 한의원에 오시는 분들을 통계로 내어보면 말이죠~! 하지만 여성환자가 많다고 하네요!

제일 구별해야되는 질환은 중풍환자입니다. 중풍환자에게서 생기는 중추성 안면마비는 처음에는 신경외과에서 진료받는 것이 좋습니다. 뇌를 찍어보고 막히거나 출혈이 보이면 먼저 치료를 하는게 우선입니다.

구안와사의 근본원인은 피로에 지쳐있을때 나타나는 징조를 무시하고 지내다가 쉽게 생깁니다. 특히 뒷목의 뻐근함이 오래 지속 되었을때 풀지 못하고 장시간의 피로 누적과 스트레스로 인하여 갑자기 증상이 나타나니 징후를 잘 파악해서 충분한 휴식또는 치료를 꼭 하셔야 구안와사에 걸리지 않습니다.

치료 시기를 놓치면 증상악화는 물론이고 후유증이 이어져서 오랜시간 고통스런 시간을 보내야 되는 경우도 많습니다. 저희 한의원에도 2분의 안면마비 후유증으로 이맘때 추워지게 되면 많이 힘들어하셔서 꾸준히 치료받는 분도 계십니다.

요즘에는 큰 병원에 먼저가셔서 mri도 찍어보기도 하지만 사진영상에 나타나지 않는 경우가 많고 병원에서도 1주일~3주일정도의 약 처방외에는 다른 치료를 하지 않습니다. 약처방으로 소실되지 않는 구안와사는 꼭 한의원으로 오셔서 치료 받으셔야 됩니다. 병원약을 복용하고 있더라고 침치료를 같이 하시면 더욱 빠르게 치료됩니다.

특히 미각이 저하되거나 청각, 후각까지 문제가 생긴 경우에는 후유증이 남아 있을수 있는 확률이 굉장히 높아지니까 꼭 한의원에 내원하셔서 치료를 받으셔야 됩니다.

한의원에서는 침과 뜸 부항치료및 약침치료, 한약치료로 구안와사의 증상을 완화시킵니다.

적정한 실내온도를 유지하고 스트레스 해소와 함께 피로하지 않도록 평상시에 몸 관리를 하셔야 하고 뒷목의 뻐근함이 오래 지속 되지 않도록 하셔야지 구안와사 예방을 하실 수 있습니다.

전조증상은 뒷목의 뻐근함과 안면신경의 이상으로 인한 감각장애와 떨림이 느껴질때는 꼭 우성한의원에 내원하셔서 치료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